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공존과 상생”...성남형 공공재개발 ‘주목’

기사승인 2020.09.17  07:00:00

공유
default_news_ad1
 

< 앵커 >

수도권의 주택 공급난 해소가 화두로 떠오른 요즘 공공이 주도하는 도심 정비사업의 실효성을 두고 논란이 뜨거운데요..

LH가 경기도 성남을 중심으로 펼치고 있는 공공 주도 재개발이 공존과 상생의 가치를 실현하는 모델로 평가받고 있어 주목됩니다.

이현구 기자입니다.

 

 

< 리포터 >

경기도 성남 구도심의 한 아파트 단지.

공공주도 재개발의 전국적 모범 사례로 평가받는 곳입니다.

건설 공기업이 민간 시공사와 손 잡고 진행한 이른바 ‘성남형 공공재개발’의 1단계 구역인 이곳 맞은 편에서는 2단계 재개발 공사가 한창입니다.

전면 철거의 부작용을 줄이고 원주민 재정착 여건을 개선한 ‘순환 정비 방식’으로 대표되는 이 성남형 공공재개발 사업에 학계와 타 지자체의 관심도 뜨겁습니다.

안태영 / LH 경기지역본부 도시정비설계부 차장

“주민들은 공공이 재개발을 하는 것을 찬성하고 있습니다. 그 사람들의 사회적,경제적 니즈를 반영하여 생활 SOC를 입체적으로 구현하였고 또한 재정착률을 고려하기 위해 주거 뿐만 아니라 골목 상권도 재정착할 수 있도록 순환 정비 방식으로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1,2단계 재개발을 기본 모델로 LH가 성남에서 추진하는 사업은 5개 구역 3만 9천 세대 규모.

세입자 순환용 임시 거처를 모듈러 주택 등으로 마련한 뒤 정비 공사를 진행해 생활공동체 문제와 인근 전세난이 해결됩니다.

이 장점을 수도권 전체로 확대 적용하기 위해 정치권과 학계가 함께 세미나도 열어 성과와 한계를 공유했습니다.

참가자들은 ‘성남형 공공재개발’이 거둔 민간 대비 30% 이상의 재정착률, 신속한 사업 추진, 이주비 확대, 도시주거환경정비 기금을 통한 사업성 개선 효과에 주목했습니다.

홍정구 / 단국대 건축학과 교수

“적어도 경기도에서 도시 재생사업으로 효과가 떨어지는 지역들은 기본적인 이런 원칙을 토대로 주민들과 함께 주거 생태계를 보존하고 상인들과 함께 상업 생태계를 보존할 수 있는...”

박진서 / LH 도시정비설계부 부장

“저희가 지금 성남에서 추진하고 있는 모범적인 성남형 공공재개발 사업의 새로운 모델을 인근 수도권으로 확대하도록...”

김현미 국토부 장관과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등도 지역의 특성과 공동체를 유지하며 상생하는 재개발이 널리 정착되길 희망했습니다.

김현미 / 국토교통부 장관

“무엇보다 세입자들의 입주 대책을 마련한 후 정비 사업에 들어가는 순환정비를 통해 주민들의 재정착을 돕는 것이 큰 강점입니다. 겨나는 재개발이 아니라 지역과 주민들이 상생하며 더불어사는...”

변창흠 / LH 사장

“저희 LH는 성남시 2030 재개발을 비롯해 서울 권역 및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에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 드립니다”

이주대책에 대한 공공의 책임이 강화된 이같은 정비사업은 국토부, 서울시, LH 합동으로 오는 11월까지 대상지 공모 신청을 받아 서울에서 본격적으로 펼쳐집니다.

[스탠딩] 투기, 철거 같은 단어가 먼저 떠오르는 도심 재개발 사업에 상생과 공존의 의미를 불어넣고 있는 순환정비 방식의 공공재개발이 저변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BBS뉴스 이현구입니다.

이현구 기자 awakefish9@gmail.com

<저작권자 © 불교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3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최신기사

set_A2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set_C1
ad44
ad36

BBS 취재수첩

item41

BBS 칼럼

item35

BBS <박경수의 아침저널> 인터뷰

item58

BBS 기획/단독

item36

BBS 불교뉴스

item42
default_side_ad3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