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기자수첩] 한반도의 봄과 ‘일대일로’ 그리고 중국 불교는?

기사승인 2018.05.06  11:47:36

공유
default_news_ad1

남북정상회담이 열리기 이틀 전인 지난달 25일, 중국 외교부에서 만난 아시아국 진해 부국장의 한국어 실력에, 필자는 깜짝 놀랐다. 문법과 발음, 어투는 물론, 불교지식 등은 한국인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진해 부국장, 약간은 차가워 보이는 외모를 가졌으나, 목소리는 중저음으로 친근했다. 그는 한국 스님들에게 이렇게 말했다.

“바다의 실크로드는 신라에서 시작된 겁니다. 동국대도 관련이 있고 한반도에서 봄이 오고 실크로드 일대일로 동북아시아 한반도와 유라시아 대륙과의 연결도 꿈이 아니라 현실로 다가올 것입니다.”

지난 2013년 시진핑 주석이 제안해 추진 중인 신 실크로드 전략 ‘일대일로’를 설명하면서, 신라불교라는 ‘과거’에 현재의 중국외교정책을 접목시켜, 한반도의 미래를 그 누가 이렇게 설득력 있게 설명할 수 있을까? 외교관으로서 국가를 대변해, 자국의 이익을 상대의 입장에서 거부감이 안 들게 귀가 솔깃하게 유혹한 것이다.

한국과 중국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함께할 것이다. 또, 여러 공통분모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불교이다. 동북아시아 불교의 원류는 중국이다. 특히 달마대사에 의해 생겨난 ‘선’과 교학연구로 체계가 잡힌 ‘종파불교’로 인도에서 탄생한 불교는 완벽하게 중국화됐다. 한국과 일본은 인도 불교가 아닌 '중국 불교'를 받아들인 것이다. 중국은 문화혁명을 거치며 동북아 불교의 종주국 위치에서 벗어났다. 아니 상실했다. 하지만 1990년 대 개혁 개방이 본격화 되면서 불교중흥에 나섰고 이제 사찰 등 인프라 구축은 마무리 단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전, 세계불교포럼과 한중일 불교우호교류대회가 열렸던 중국 무석에 이어, 이번에 방문한 중국 산시성 서안 법문사의 크기와 화려함은 대단했다. 단, 개인적인 느낌은 사찰보다는 중국정부가 조성한 문화공원과 시설을 방문한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물론 거부감도 있었다. 그러나 그 옛날 중국이 인도의 불교를 중국화 한 것처럼, 이제 중국이 새 시대에 새로운 불교를 만들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문화혁명이 중국불교에 재앙이었을 수도 있었지만, 새 불교의 싹을 틔우기에는 역설적으로 비옥한 토대가 되지 않았나 여겨진다. 

정교분리 이전의 종교는 그 당시 사회의 총체였다. 당대의 종교에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모든 것이 녹아 있었다. 방대한 기록유산, 비단 불교경전 만이 아니라 그림과 조각, 건축물, 차, 서예 등을 간직하고 있다. 서구 사회에서 기독교가 시대의 나이테 역할을 했다면, 동양은, 그중에서 한중일 삼국은, 단연 불교일 것이다. 현시대의 우리는 당시 종교를 통해 시대를 본다. 문헌학, 고고학 등은 암호처럼 남아있는 파편들을 모으고 열심히 해석하고 있다. 

정교분리 이전 ‘정치’라는 제도와 ‘종교’라는 문화로 운영되던 국가는 이제 존재하지 않는다. 하지만 사회주의 국가의 특성상 중국은 예전처럼 완벽한 형태로 유불선 3교를 국가통치 이념으로 삼지는 않겠지만, 국가주도로 중국불교를 육성하는 것만은 분명하다. 정교분리 이후 종교는 언론사의 기사 분류로 보면, 정치와 경제, 사회 분야 다음에 문화 중에서 한 분야로 존재한다. 정교분리 사회에서 종교는 힘이 없다. 이제 더 이상 종교는 국가운영의 이념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국불교는 정교분리 이전의 지위와 역할을 가지고 중국정부의 주도로 성장세를 지속할 것이다. 

경제에 있어서 자본주의는 사회주의보다 우위의 시스템 일수 있으나, 종교에 있어서만큼은 사회주의가 한 발 더 앞설 수 있다. 단점도 있겠지만 과거의 역사와 문화재 등을 새롭게 조성해 현 시대에 내 놓을 수 있다. 한국불교는 중국불교에 비해서 전통의 고수라는 측면에서 우위에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하지만 우리의 전통은 당대의 최신 문화이자 시대 사조였다. 거듭 변모하는 중국불교를 보면 볼수록, 한국불교도 이제 우리만의 것을 새롭게 쌓아올려야 한다는 조바심이 드는 것은 왜일까? 

우리나라는 중국 경제가 성장을 거듭해 한국 경제를  크게 위협할 것을 걱정하는데, 종교와 문화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닌 것 같다. 지금 정신 차리지 않는다면 말이다. 한국불교계만이 아니라 우리정부와 국민들도 한번쯤 생각해 볼 문제라고 여겨진다. 

홍진호 기자 jino413@dreamwiz.com

<저작권자 © 불교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3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최신기사

set_A2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set_C1
ad44
ad36

BBS 취재수첩

item41

BBS 칼럼

item35

BBS <박경수의 아침저널> 인터뷰

item58

BBS 기획/단독

item36

BBS 불교뉴스

item42
default_side_ad3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