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ault_top_notch
default_setNet1_2

위기 가정에 의한 ‘극단적 자살’… “제도적 장치 없다”

기사승인 2018.04.12  18:40:32

공유
default_news_ad1

- 증평 모녀 사망사건과 청주 일가족 사망사건의 ‘민 낮’

[전국네트워크]
지역 이슈 짚어보는 <뉴스파노라마> '전국 네트워크' 시간입니다.

오늘은 청주로 갑니다.

청주 BBS 김정하 기자가 청주 스튜디오에 나와 있습니다. 김 기자.

 

네, 청줍니다.

 

오늘은 어떤 소식입니까.

 

증평에서 발생한 안타까운 ‘모녀 사망 사건’입니다.

 

증평에서 발생한 ‘모녀 사망 사건’... 우리 사회에 많은 것을 느끼게 했던 사건인데요.

 

네. 그렇습니다.

먼저 사건 개요부터 설명해 드리면요.

지난 6일 오후 5시 15분쯤입니다.

증평군의 한 아파트에서 46살 A 씨와 네 살짜리 B 양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발견 당시 40대 엄마는 안방 침대 옆 바닥에서, 네 살 된 딸은 침대 위에 누운 채 이불을 덮고 숨져 있었습니다.

지난해 남편과 사별한 뒤 홀로 아이를 키우며 생활해 온 40대 엄마.

그리고 네살 된 딸.

엄마와 딸은 숨진 지 두달 가량이 지난 뒤에야 발견이 됐습니다.

숨진 지 두달이 지났지만, 아무도 몰랐습니다.

 

‘증평 모녀 사건’이 처음에는 서울 ‘송파 세모녀 사건’과 유사해서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우리사회의 민 낮을 그대로 보여준 것 아니냐’... 이런 반응이었죠.

 

그렇죠. 사건발생 초기에는 ‘복지 사각지대’에 초점이 맞춰졌는데요.

그러나 ‘복지 사각지대’보다 더 중요한 부분이 있었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했습니다. 
바로, 위기 가정에 의한 ‘극단적 자살’인데요.

‘극단적 자살’은 가족 중에 자살자가 있거나, 경제 파탄으로 인한 심리적 압박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이번 ‘증평 모녀 사망 사건’이나 지난해 가을에 발생한 ‘청주 일가족 사망 사건’이 그 예입니다.

◀INT▶
최영락 정신과 전문畇求.

 "(극단적 어려운 일을 겪으면)우울증이 되면 인지기능도 떨어지고 판단 능력도 떨어집니다.

감정 등 불안감들이 휩싸이기 때문에 그동안 정상적으로 작동되던 이성적인 체계들이 작동을 못합니다.

점점 극단적으로 생각합니다. 먼저 다가가서 '위기 개입 시스템'을 먼저 구축해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그거(위기 개입 시스템) 안 돼 있다”

 

‘자살자 가족의 ’자살’’... 조금 생소한데요.

 

말 그대로 ‘가족 중에 자살자가 있다면 자살자 가족의 사망률이 높다’는 얘깁니다.

전문가들은 이런 문제를 ‘가족, 자살 바이러스’라고 부릅니다.

자살자 유가족에 대한 ‘자살 바이러스’는 심각한 사회현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INT▶
최영락 청주 정신건강 증진센터장의 말, 직접 들어보시죠.

“유가족에 대한 자살 위험도는 일반인들에 비해서 8배에서 10배이상 높습니다.

2~3년 전 연구에서는 2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왔거든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가족 자살자)개입할 수 있는 근거, 여지가 없습니다 ”

 

‘증평 모녀 사망사건’... 40대 엄마 입장에서 보면 당시 남편의 죽음으로 인한 외로움...그리고 많은 부채로 인한 심리적 압박... 그래서 정신적으로 많이 힘들었을 것 같습니다.

 

그렇습니다.

40대 엄마는 1억 5천만원의 부채를 안고 있을 만큼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남편도 지난해 9월 중순에 증평의 한 야산에서 목을 매 숨졌거든요.

때문에 40대 엄마의 심리적 고통은 상당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현장 주변에서 유서도 발견됐습니다.

40대 엄마가 남긴 유서에는 "남편이 그립고, 아이도 내가 데리고 가겠다. 동생을 부탁한다"...이런 내용이 담겨 있었습니다.

40대 엄마가 마지막 유서에서 ‘구조를 요청하는 위기 신호’ 였을 것입니다.

지난해 가을에 발생한 ‘청주 일가족 사망 사건’ 역시, 경영난에 허덕이던 40대 부부가 자녀 2명과 함께 숨진 사건인데요.

40대 부부는 수십억원의 채무에 시달리다가, 극단적인 선택을 한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습니다. 

 

이같은 사건... 사실, 주변에서 종종 발생하고 있는데요.

정부와 자치단체, 어떻게 대응하고 있습니까.

 

두 사건처럼 극단적 자살은 단순한 ‘신병비관 사건’으로 다뤄져 왔습니다.

그렇다보니, 정부나 자치단체는 무관심 이었습니다.

따라서 정부 등의 ‘위기 개입 시스템’은 작동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단순한 신병비관 사건이라도 그 내면을 살펴봐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입니다.

이들을 돕기 위한 정부의 제도적 장치도 아직 부족한 상황입니다.

정부 등이 이들을 돕기 위해 접근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정부나 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나설 수 도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한마디로 이들을 보호할 ‘국가적인 시스템’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얘깁니다.

그래서 두 사건처럼 심리적인 ‘극단적 자살’에 대한 ‘국가적인 시스템’이 하루 빨리 정비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입니다.

 

오늘 말씀 잘 들었습니다.
청주BBS 김정하 기자였습니다.

 

손도언 기자 k-55son@hanmail.net

<저작권자 © 불교방송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default_news_ad3
기사 댓글 0
전체보기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최신기사

set_A2
default_news_ad4
default_side_ad1

인기기사

set_C1
ad44
ad36

BBS 취재수첩

item41

BBS 칼럼

item35

BBS <박경수의 아침저널> 인터뷰

item58

BBS 기획/단독

item36

BBS 불교뉴스

item42
default_side_ad3
default_setNet2
default_bottom
#top
default_bottom_notch